맹그로브 생태복원

 아시아 맹그로브 숲 생태복원 사업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로부터 우리 지구를 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사업입니다. 


 최근 국내에서의 최장기간 장마, 집중호우, 폭염, 잦은 태풍 등으로 많은 이재민이 발생했고, 전지구적으로는 산업화 이전에 비해 지구 평균 기온은 약 1℃ 상승했습니다. 지구 온도 상승의 주범은 이산화탄소로 온실가스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면 지구온난화현상으로 기후변화가 발생해 기후재난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한 대규모 인명, 재산 피해 이후 그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더욱 부각되어 UN 및 각국 정부, NGO 차원에서 보호와 복원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안선 보호, 육지조성, 생물다양성 유지, 천연 양식장, 정화기능, 경제적 이용, 과학연구 등 아열대와 열대지역 연안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맹그로브는 관광, 새우양식, 택지개발로 인해 지난 30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30%가 사라졌습니다. 이는 산림탄소배출량의 10%에 해당할 만큼 방대한 면적입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은 그 파괴속도가 2배 이상 빠르고, 한국은 ‘기후악당(climate villain)’이라는 오명을 얻었습니다. 한국이 '기후악당국가'라는 이미지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NGO차원에서라도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는 맹그로브 생태복원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특단의 조처가 필요합니다.

  

기후변화 적응 나무, 열대림보다 높은 탄소 고정효과
에코피스아시아는 파괴되는 맹그로브 숲 보호 및 생태 복원 활동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맹그로브 숲이 열대우림보다 탄소를 2~5배 더 많이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다의 열대 우림’이라 불리며 중국 남부에서 홍해에 걸쳐 자라는 아시아지역 맹그로브숲은 UNESCO의 기후변화적응 프로그램으로 선정될 만큼 탄소 고정 효과가 뛰어납니다.


쓰나미 피해 75% 상쇄, 해안의 만리장성
맹그로브 숲 생태 복원 사업은 날로 심각해져만 가는 기후재난재해를 사전에 방지 할 수 있습니다.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발생 때, 해안의 맹그로브 숲이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하여 파도를 막아준 덕분에 많은 생명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2013년 11월 필리핀 중부지역을 강타한 슈퍼태풍 하이옌이 불어 닥쳤을 때도 맹그로브가 보존되었던 동사마르 지역은 해안개발로 맹그로브가 사라진 타클로반 보다 피해가 두드러지게 적었습니다. 맹그로브 숲은 조류에게는 서식지를, 어류에게는 산란지를 제공하고 있어 생명의 요람이라고도 일컬어집니다. 우리의 맹그로브 숲 생태복원 사업은 기후변화적응과 생물다양성 증대 뿐만 아니라 인간의 소득증대도 가능하게 하는 지속 가능한 지구를 만드는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1,000 ha당 연간 3만 톤의 이산화탄소 흡수, 매년 6만 달러의 경제적 이익
맹그로브 숲 1ha는 연간 최대 34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이는 소나무의 4.4배, 백합나무의 2.2배에 해당하며, 1000ha의 맹그로브 숲이 조성되면 매년 최소 3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1,376명이 1년간 배출하는 양으로 매년 6만 달러 규모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해외에서 조림사업을 수행하면 그 숲이 흡수한 온실가스만큼의 탄소 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기 때문입니다. 


Ecopeace Asia, 국내 유일의 맹그로브 숲 생태복원 사업 NGO
에코피스아시아는 2010년부터 맹그로브 숲 생태복원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국내에서는 가장 오랫동안 맹그로브 생태복원 사업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중국 복건성 샤먼시에 양묘장을 두고 1,493명의 자원봉사자가 총 205,755그루를 식재하였습니다. 에코피스아시아시는 다년간의 사업을 통해 중국 광서, 광동, 해남 등지의 맹그로브 숲 생태복원 그룹 40여 곳과 네트워크를 형성, 아시아 맹그로브 보호활동에 있어 아시아 맹그로브 생태복원 전문환경단체로서의 우수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맹그로브 그린벨트를 목표로 생태복원 사업지를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